글자크기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연구소안내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교육정책자료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알림마당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전남교육종단연구
모바일 메뉴 닫기
트위터 공유 카카오 공유 페이스북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SNS 공유영역 닫기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원장 오은주) 교육정책연구소는 2월 13일 연구정보원 1층에서 2024. 교육정책 연구 결과 발표회’를 열었다.
이날 연차보고회는 교원, 교육전문직, 교육행정직, 타 시도 교육연구관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지난 1년 동안의 교육정책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했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고윤혁 소장은 “오늘 교육정책 연구 결과 발표회는 K-에듀를 선도하는 글로컬 전남교육 위한 현장 적용 방안을 교육공동체가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이다.”면서 교육정책연구 결과는 전남 교육 정책 수립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4. 교육정책 연구 결과 발표회는 24년도에 수행한 13개의 전남교육정책연구과제와 2024. 전남교육 여론조사 결과를 담아낸 포스터 전시를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들이 갤러리 워크의 형태로 소통의 자리를 가졌다.
이어 진행된 본 행사 1부는 박현규 연구위원의 「전남국제직업고등학교 운영 방안 연구」결과 발표와 전남국제직업고 관련 전문가들이 교육정책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한 토론 및 현장과의 질의 응답이 이루어졌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전남대학교 교육학 이기언 박사는 “전남국제직업고등학교가 더욱 탄탄한 운영과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정책과 연계·협업이 필요하다.”면서 “올해부터 본격 추진 될 전남 RISE 사업의 글로벌 지역특화 인재양성 프로젝트와 교육발전특구 등과 연계한 글로컬 인재양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2부에서는 김이수 연구위원의 「지속가능한 학생교육수당 재원 확보 방안 연구」결과 발표와 전남교육 학생수당 지급 2년 차를 맞이하여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오은주 원장은 “K-에듀의 방향성을 담은 전남교육정책연구가 학교 현장과 정책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전남지역의 특수성, 우리 학생, 교직원들의 의견을 반영된 교육정책연구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