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연구소안내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교육정책자료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알림마당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전남교육종단연구
모바일 메뉴 닫기
트위터 공유 카카오 공유 페이스북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SNS 공유영역 닫기
‘읽다, 새로운 세계를 열다’ 독서인문교육의 방향성 제시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원장 김옥란)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전남교육 이슈&정책 64호’를 발간한다.
이번 64호는 책 읽기가 갖는 궁극적인 윤리적 가치, 공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전남인문교육이 나아가야 할 철학적 방향을 제시한다. AI·디지털 시대에 대응하는 독서인문교육에 대한 성찰, 깊이 있는 학습과 독서인문교육에 대한 탐색 및 타·시도 독서인문교육과 전남 독서인문교육의 비교분석을 통해 전남 독서인문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한다. 또한 미래형 전남 도서관의 모습과 2025. 전남 독서인문교육의 정책을 살펴보고 현장에 독서인문교육을 확산하기 위한 노력들을 다룬다.
△ 교육시론: 읽다, 새로운 세계를 열다 <인디고 서원 편집장 박용준>, △ 이슈진단: 질문과 성찰하는 힘을 키우는 독서인문교육 <전라남도교육청 장학사 유동춘>, 깊이 있는 학습과 독서교육 <목포여자고등학교 교사 현윤진>, 미래교육과 독서인문교육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사 이송이>, 미래 전남형 도서관의 기능 및 역할 <전남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박현규>, 타시·도 독서인문교육 사례 분석 <전남체육고등학교 교사 이진희>, △ 현장스케치: 교육과정 연계 독서인문교육 ‘우리 평생 독자, 평생 작가 되어 볼래? <순천복성고등학교 교사 이동윤>으로 구성되었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김옥란 원장은 “독서는 지식을 습득하는 행위를 넘어서, 우리 내면의 성찰과 세계관의 확장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면서 “전남의 우리 아이들이 평생 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공동체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전남교육 이슈&정책 64호를 통해 질문과 성찰로 내 삶을 주도하는 전남독서인문교육에 대한 방향성 및 비전 공유로 더욱 확산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남교육 이슈&정책 연간 총 4회, 인쇄본 책자 형태로 발간되며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전남교육정책연구소) 홈페이지에도 탑재된다.